====== RS485 ====== RS-485는 Full Duplex 방식(4wire)과 Half Duplex 방식(2wire)을 통해서 통신을 할 수 있다. RS-485는 RS-232와는 다르게 +, - 라인이 있는데 데이터가 두 신호가 만나는 지점에서 읽어지게되어 더 길게 선을 뽑아도 정상적인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. ===== RS-485 2-Wire 방식 ===== 2선식 방식은 Tx+와 Rx+, Tx- 와 Rx-를 쌍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. ===== RS-485 4-Wire 방식 ===== 4선식 방식은 2선식 방식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반이중 통신이 아닌 전이중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한다. ====== 왜 RS232C 통신을 사용하는가 ====== * TTL 신호 레벨은 0.4V 정도의 노이즈 마진을 가지고 Low 영역 폭이 0.8V로 좁아 조그만 노이즈가 첨가 되어도 High로 인식하게 됨 * PCB 보드 내에서는 TTL 로직 레벨을 사용하지만 보드 외부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RS232 또는 RS485 통신을 사용 ===== TTL(Transistor-Transistor Logic) ===== * TTL 신호는 출력 전압과 전류 사양, 상승/하강 시간 사양이 반드시 맞아야 함 {{ :ttl.gif |}} {{ :ttl_vol_cur_drive_spec.gif |}} * 위 그림에서 좌측이 출력, 우측이 입력 * 노이즈 마진이 위 그림에서와 같이 0.4V 정도이기 때문에 원거리 통신에 적합하지 않음 ===== RS232C ===== * RS232C 레벨은 2V의 노이즈 마진을 가짐 * Space(Logic 0)와 Mark(Logic 1) 영역이 대등하게 영역을 갖고 폭이 넓으므로 노이즈에 비교적 강함 * 위아래 대칭 전압 레벨을 사용 * RS232C 신호 레벨은 아래 그림 참조 {{ :rs232_vol_cur_drive_spec.png |}} ====== 참고 ====== * [[http://guslabview.tistory.com/85|RS-485 2선식 연결과 4선식 연결 방식 (RS485 4w to 2w)]] * [[http://digital.ni.com/public.nsf/allkb/4E611723ABEC193C86257E2D000F2441|TTL(Transistor-Transistor Logic) 호환 신호의 정의가 무엇인가요?]]